C3는 전세계에서 그 품격과 품질을 인정받고있는 탑클라스의 프레미엄 잡지입니다. 한국 건축잡지로는 유일하게 뉴욕, 런던, 파리, 도쿄 등을 비롯해 전세계 글로벌 도시에서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다렌 대학과 라이센스 계약을 맺어 중국어판이 배포되고 있습니다. 2001년부터 판매가 시작된 중국어판은 중국 전역과 대만 홍콩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
.
C3 스페셜_Infrastructure
도시기반건축
로드킬, 도시 기반시설이 불러온 폭력과 평화 _ 리차드 잉거솔
인류가 정착 생활을 시작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인프라 시설이 생겨났다. 고대 하라파 문명이 이룩한 놀라운 수문의 흔 적이나 한왕조 시절 수도 장안의 길거리 배수로, 스페인 세고비아에 있는 웅장한 로마식 수도교 그림1 등이 그 예다. 그럼에도 ‘인프라’라는 단어는 19세기 중반 무렵까지 흔히 쓰이지 않다가, 통용과 동시에 철도와 하수도, 고속도로가 무자비하게 들어서기 시작 했다.
…… ‘로드킬’은 부주의하게 쌩쌩 달린 차에 치여 죽은 동물의 사체를 완곡하게 부르던 데서 유래한 표현이지만, 미국에서 지난 80년간 차 사고로 죽은 사람이 하루 평균 100명이라는 사실을 생각해 보면 인프라를 짓느라 위기를 맞은 사회나 자연에도 이 단어를 쓸 수 있을 듯싶다. 좀 냉소적으로 들릴지 모르 나, 인프라 시설을 생산하고 사용함에 따른 폭력의 순환 구조에 완벽하게 들어 맞는 말이지 않을까.
.
도시 인프라의 밝은 미래를 향하여 _ 필 로버츠
도시 인프라 건축은 실용성을 이유로 너무 오랜 기간 도시를 독식하며 황폐화에 일조했다. 그 결과 공항을 제외한 모든 시설이 빛 한 줄기도 들고나지 못하는 벙커나 무덤, 창고처럼 변해버렸다. ……
이번 호에서는 기능에 따라 세분화한 총 열 다섯 개의 인프라 건축에서 빛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각 시설이 빛을 활용한 방식을 보면 차이점과 유사점이 나타난다. 빛이 따스함과 안전함을 나타내는 도구로 활용된 예가 있는가 하면, 생동감을 북돋우거나 활기를 채우는 용도로 쓰인 곳도 있다. 건축물의 가벼운 구조에서 빛의 효과가 더 뚜렷해지는 프로젝트도 등장한다. 이처럼 방식은 모두 다르지만, 건축가들은 더욱 매력적인 도시 인프라를 만드는 데 빛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